기조강연 

백인규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의사회 의장


현재 한국딜로이트 그룹 ESG센터장 및 이사회 의장, Deloitte Asia Pacific Board member, (사)딜로이트 한마음나눔 이사장, 단국대학교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 및 미국 공인회계사(Washington D.C & Maryland)로서 지난 26년간 한국 및 미국기업에 대한 회계감사, 국내 및 해외M&A자문업무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기업관련 자문업무 경험을 바탕으로 ESG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기업, 연구소, 투자자문사, 대학, 공무원, 각종 학회등을 대상으로 ESG 강연을 제공하고 있다. 연세대학교에서 경영학을 전공하였고, 저서로는 “사업을 하십니까? 회계부터 챙기세요“ (한국공인회계사회 공저), ”뉴노멀시대 CFO가 알아야 할것들 “ (상장회사 CFO포럼, ESG 공저)이 있다.

 [PART 1] 중소기업 ESG경영 정책방향과 해법


[좌장] 이호영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현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로서 ESG경영 및 기업지배구조, 재무회계, 위험관리 및 내부통제 분야에서 주로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University of Oregon에서 회계학 박사학위를 받고 Univ of Nebraska, Omaha경영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사)한국윤리경영학회와 (사)한국회계정보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ESG/기업윤리연구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기업지배구조의 모든 것, IFRS회계원리 등이 있다.


김혜성  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현재 김앤장 국제중재팀 및 ESG 팀에서 해외 거래, 분쟁 해결 및 공급망 ESG 관리를 담당하는 변호사로서, 신재생에너지, IT, 건설, 보험, 공정거래 분야 분쟁 해결 및 리스크 관리 시스템 구축, ESG 정책 자문을 제공하여 왔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과 런던 정경대학 법학 석사 과정을 졸업하였으며, 한국 및 영국 변호사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 기업을 위한 국제중재 가이드 개정판(공저, 법무부, 2014. 12.), State Immunity and Arbitration, Interim Measures in Support of Arbitration, Enforcing Arbitral Awards in South Korea (Lexis PSL Practice Note, 2019.2.), Tackling Diverse Issues in Arbitration Agreement: Focusing on M&A, Finance, Distributorship, Technology, and Construction, Korea Arbitration Review (공저, 대한상사중재원, 2021), ESG와 인권 실사: 인권 실사의 매력과 함정 (공저, 월간노동법률, 2021) 등을 집필하였다.


나수미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


현재 중소벤처기업부 산하의 국책연구원인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의 연구위원으로서 벤처금융과 ESG 분야의 정책연구를 주로 담당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부에서 응용미시경제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명지대학교에서 화폐금융론을 강의하였다. 연구의 관심분야는 벤처금융 분야의 정책 연구와 기업의 ESG를 비롯한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 분석 연구이다.


임채운 서강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현재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서 채널마케팅과 중소기업 정책 분야에서 주로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서강대학교 무역학과를 졸업하였고, University of Michigan에서 MBA, University of Minnesota에서 마케팅 박사를 취득하였으며 그동안 유통채널 거래관계, 불공정거래 관행, 중소기업의 판로와 마케팅, 중소기업 정책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한국경영학회 회장과 한국중소기업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제16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으로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현장에서 집행한 경험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동반성장위원회 위원과 상생협력기금 운영위원장으로 대·중소기업의 상생협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PART 2] 소기업 성공적인 ESG경영을 위한 도약


[좌장] 김대종   세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한국경영경제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KBS, MBC, SBS 등에서 활발한 언론활동을 하고 있다. LG전자, 현대증권 이코노미스트, 한국경제신문사, 국회 4급,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자문위원을 했다. 한국글로벌무역학회와 한국구매조달학회 부회장이며 ESG와 중소기업경영 등 논문을 한국경영학회에서 발표했다. 한국무역학회와 한국국제경영학회 이사이며, 세계3대 인명사전 후즈후에 등재되었다. 한국외대 경제학과 수석졸업, 고려대 MBA, 서강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뉴욕대와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연구 활동을 했다. 서울총장포럼 사무국장, 소방방재청과 한국환경공단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이수아   에스랩아시아 대표


현재 S.Lab Asia 대표로서 아시아 콜드체인 분야를 개척하고 있다. 일본 리츠메이칸 APU(Ritsumeikan Asia Pacific University) 국제경영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세아상역에서 Global R&D sourcing 경력을 쌓았다. 2014년 에스랩아시아를 설립한 후, 국제안전운송(FDA 포함) 기준인 ISTA 7E, 7D 인증을 받은 그리니메디-의약품 전용 배송박스와 스티로폼을 대체해 식품의 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소재인 그리니푸드-신선식품 스마트 콜드체인 박스를 출시했다. 최근에는 코로나19백신 운송 정부사업에 참여하며 백신 운송의 최전선에서 분주하게 뛰고 있다.


이승규   다율ESG경영컨설팅 대표


재 다율ESG경영컨설팅 대표 및 J&L인사노무컨설팅 대표 공인노무사로서 ESG 및 중대재해/산업안전보건 컨설팅, 기업자문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인하대학교 환경공학과(학사)와 연세대학교 대학원 화학공학과(환경공학 전공, 석사)를 졸업하였으며, 현재 한국기술거래사회 이사, 에너지기술평가원 국민참여혁신위원,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위부평가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에는 아웃소싱타임즈에 "ESG알게쉽게 이해하기"라는 주제로 연재기고 하였다.


이광욱   법무법인(유) 화우 파트너 변호사


법무법인(유) 화우의 파트너 변호사로 ESG, 방송정보통신, 지식재산권, 환경, 공정거래위원회 소관 업무를 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ESG, 핀테크, 스마트카,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메타버스 등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법률 분야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University of Pennsylvania Law School에서 LL.M. 과정을 마친 후 2007년부터 2008년까지 미국 유수의 로펌인 Steptoe & Johnson의 뉴욕사무소에서 외국변호사(International Associate)로 근무하였습니다.


박현규  킥스타트아시아 대표이사


현재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인 킥스타트아시아(킥스타트인베스트먼트)의 대표를 맡고 있으며, 영국 브런치를 바탕으로 덴마크, 이스라엘 등 유럽과의 다양한 인프라를 통해 스타트업 시장 활성화를 위해 활동하고 있다.


백인규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의사회 의장  기조강연


현재 한국딜로이트 그룹 ESG센터장 및 이사회 의장, Deloitte Asia Pacific Board member, (사)딜로이트 한마음나눔 이사장, 단국대학교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 및 미국 공인회계사(Washington D.C & Maryland)로서 지난 26년간 한국 및 미국기업에 대한 회계감사, 국내 및 해외M&A자문업무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기업관련 자문업무 경험을 바탕으로 ESG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기업, 연구소, 투자자문사, 대학, 공무원, 각종 학회등을 대상으로 ESG 강연을 제공하고 있다. 연세대학교에서 경영학을 전공하였고, 저서로는 “사업을 하십니까? 회계부터 챙기세요“ (한국공인회계사회 공저), ”뉴노멀시대 CFO가 알아야 할것들 “ (상장회사 CFO포럼, ESG 공저)이 있다.

   중소기업 ESG경영 정책방향과 해법


이호영  |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좌장


현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로서 ESG경영 및 기업지배구조, 재무회계, 위험관리 및 내부통제 분야에서 주로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University of Oregon에서 회계학 박사학위를 받고 Univ of Nebraska, Omaha경영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사)한국윤리경영학회와 (사)한국회계정보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ESG/기업윤리연구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기업지배구조의 모든 것, IFRS회계원리 등이 있다.

김혜성  |  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현재 김앤장 국제중재팀 및 ESG 팀에서 해외 거래, 분쟁 해결 및 공급망 ESG 관리를 담당하는 변호사로서, 신재생에너지, IT, 건설, 보험, 공정거래 분야 분쟁 해결 및 리스크 관리 시스템 구축, ESG 정책 자문을 제공하여 왔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과 런던 정경대학 법학 석사 과정을 졸업하였으며, 한국 및 영국 변호사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 기업을 위한 국제중재 가이드 개정판(공저, 법무부, 2014. 12.), State Immunity and Arbitration, Interim Measures in Support of Arbitration, Enforcing Arbitral Awards in South Korea (Lexis PSL Practice Note, 2019.2.), Tackling Diverse Issues in Arbitration Agreement: Focusing on M&A, Finance, Distributorship, Technology, and Construction, Korea Arbitration Review (공저, 대한상사중재원, 2021), ESG와 인권 실사: 인권 실사의 매력과 함정 (공저, 월간노동법률, 2021) 등을 집필하였다.


나수미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


현재 중소벤처기업부 산하의 국책연구원인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의 연구위원으로서 벤처금융과 ESG 분야의 정책연구를 주로 담당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부에서 응용미시경제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명지대학교에서 화폐금융론을 강의하였다. 연구의 관심분야는 벤처금융 분야의 정책 연구와 기업의 ESG를 비롯한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 분석 연구이다.

임채운  |  서강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현재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서 채널마케팅과 중소기업 정책 분야에서 주로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서강대학교 무역학과를 졸업하였고, University of Michigan에서 MBA, University of Minnesota에서 마케팅 박사를 취득하였으며 그동안 유통채널 거래관계, 불공정거래 관행, 중소기업의 판로와 마케팅, 중소기업 정책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한국경영학회 회장과 한국중소기업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제16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으로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현장에서 집행한 경험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동반성장위원회 위원과 상생협력기금 운영위원장으로 대·중소기업의 상생협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소기업 성공적인 ESG경영을 위한 도약


김대종  |  세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좌장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한국경영경제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KBS, MBC, SBS 등에서 활발한 언론활동을 하고 있다. LG전자, 현대증권 이코노미스트, 한국경제신문사, 국회 4급,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자문위원을 했다. 한국글로벌무역학회와 한국구매조달학회 부회장이며 ESG와 중소기업경영 등 논문을 한국경영학회에서 발표했다. 한국무역학회와 한국국제경영학회 이사이며, 세계3대 인명사전 후즈후에 등재되었다. 한국외대 경제학과 수석졸업, 고려대 MBA, 서강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뉴욕대와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연구 활동을 했다. 서울총장포럼 사무국장, 소방방재청과 한국환경공단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이수아  |  에스랩아시아 대표


현재 S.Lab Asia 대표로서 아시아 콜드체인 분야를 개척하고 있다. 일본 리츠메이칸 APU(Ritsumeikan Asia Pacific University) 국제경영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세아상역에서 Global R&D sourcing 경력을 쌓았다. 2014년 에스랩아시아를 설립한 후, 국제안전운송(FDA 포함) 기준인 ISTA 7E, 7D 인증을 받은 그리니메디-의약품 전용 배송박스와 스티로폼을 대체해 식품의 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소재인 그리니푸드-신선식품 스마트 콜드체인 박스를 출시했다. 최근에는 코로나19백신 운송 정부사업에 참여하며 백신 운송의 최전선에서 분주하게 뛰고 있다.


이승규  |  다율ESG경영컨설팅 대표


현재 다율ESG경영컨설팅 대표 및 J&L인사노무컨설팅 대표 공인노무사로서 ESG 및 중대재해/산업안전보건 컨설팅, 기업자문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인하대학교 환경공학과(학사)와 연세대학교 대학원 화학공학과(환경공학 전공, 석사)를 졸업하였으며, 현재 한국기술거래사회 이사, 에너지기술평가원 국민참여혁신위원,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위부평가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에는 아웃소싱타임즈에 "ESG알게쉽게 이해하기"라는 주제로 연재기고 하였다.

이광욱  |  법무법인(유) 화우 파트너 변호사


법무법인(유) 화우의 파트너 변호사로 ESG, 방송정보통신, 지식재산권, 환경, 공정거래위원회 소관 업무를 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ESG, 핀테크, 스마트카,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메타버스 등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법률 분야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University of Pennsylvania Law School에서 LL.M. 과정을 마친 후 2007년부터 2008년까지 미국 유수의 로펌인 Steptoe & Johnson의 뉴욕사무소에서 외국변호사(International Associate)로 근무하였습니다.


박현규  |   킥스타트아시아 대표이사


현재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인 킥스타트아시아(킥스타트인베스트먼트)의 대표를 맡고 있으며, 영국 브런치를 바탕으로 덴마크, 이스라엘 등 유럽과의 다양한 인프라를 통해 스타트업 시장 활성화를 위해 활동하고 있다.

Social Enterprise Academy(영국 스코틀랜드 왕립 인증 교육기관), VentureCup(덴마크 최대의 액셀러레이터), Tech it Forward(이스라엘 3대 맥셀러레이터) 등 유럽 등지의 파트너들과의 활발한 교류를 바탕으로 다양한 중소기업 ESG 경영 케이스를 확인하고, 한국의 스타트업 단계에서 적용 될 수 있기를 바라며 관련 다양한 경영 자문을 맡고 있다.